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 가이드북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연결방법, 서브도메인 연결하기 (도메인이란 무엇인가?)

by AI노마드랩 2023. 8. 23.
반응형

인터넷 활동을 하다보면,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거나 클릭하여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하곤 합니다. 이러한 인터넷 주소를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도메인은 IP 주소를 사람이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문자열로 대신하여 해당하는 웹 서버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해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2차 도메인 및 서브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티스토리 2차 도메인 연결방법, 서브도메인 연결하기 (도메인이란 무엇인가?)

 

 

 

목차

     

     

    2차 도메인 연결 방법

    티스토리에서 2차 도메인은 '블로그명.tistory.com' 형식으로 제공됩니다. 2차 도메인을 사용하면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어려움은 없지만, 도메인이 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기억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용자들은 도메인을 짧고 쉽게 기억할 수 있는 형태로 변경하고자 합니다.

    2차 도메인을 변경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서 '도메인 설정'을 클릭한 후, '도메인 등록하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DNS 레코드를 설정한 후 등록을 완료하면 됩니다.

    서브도메인 연결 방법

    서브도메인은 기존 도메인의 앞부분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 만든 것입니다. 예를 들어, 'blog.example.com'과 같은 형태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서브도메인을 만들면 하나의 도메인으로 여러 개의 웹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서브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서 '도메인 설정'을 클릭한 후, '서브도메인 등록하기'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서브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DNS 레코드를 설정한 후 등록을 완료하면 됩니다.

     

    먼저 질문을 드려보겠습니다.

    1) https://ai-nomad.tistory.com/

    2) https://ai-nomad.com/

     

    둘 중, 어떤 주소가 더 전문적이고 유니크 해보이시나요?

    저는 2번이 더 공식 홈페이지 같고 전문적으로 보입니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도 그렇게 생각할 것 같습니다.

    1번은 일단 주소가 길고, tistory라는 도메인이 붙기에 블로그라는 느낌도 강하죠.

     

    Q. 도메인이란?

    A. 원래 모든 인터넷 주소는 192.168.100.150 이런식의 숫자로 구성되지만, 사람들이 알아보기 쉽게 문자 (영문, 숫자)로 덮어 씌우는데, 이렇게 완성된 주소를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티스토리처럼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나만의 사이트 이름을 만들더라도 자사의 도메인은 무조건 포함되게 만듭니다.

    저의 경우 https://ai-nomad.tistory.com/ 이렇게 되는것이죠.

     

    만약 https://ai-nomad.com/ 처럼 나만의 도메인으로 만들고 싶다면, 

    카페 24와 같은 호스팅 업체를 통해 별도로 구매해야 합니다.

    (특가 이벤트도 있긴 하지만, 보통 1년에 24,000원 정도 합니다)

     

    도메인 구매 방법까지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도메인을 구매하셨다면 티스토리 블로그에 씌울 수가 있는데,

    이 방법까지만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좌측에서 [관리 → 블로그]를 누르고 [도메인 연결하기]를 클릭합니다.

     

    2) 그 다음,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변경사항 저장]을 누르시면 됩니다.

     

    결론

    이번 글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2차 도메인 및 서브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차 도메인을 변경하거나 서브도메인을 추가하면 블로그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설정을 변경하고자 할 때는 DNS 레코드 설정과 같은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이번 글을 참고하여 도메인 설정에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